본문 바로가기

csts공부

[CSTS] 요약정리 암기노트 2. 테스트 설계 기법 💎 테스트 설계 기법 - 정적 T : 리 정 - 동적T : 구 명 경 💎 정적 T : T대상을 실행 x , 동적 T에서 검출하기 힘든 오류 찾아냄 (리정) ⚡ 리뷰 => 기쓰관리펙트감사 - SW 산출물에 존재하는 결함 검출 (결함제거비용 ↑) - 프로젝트 진행상황을 점검, 전문가 그룹이 수행, 체크리스트 활용 - 관리리뷰 : 진행상황 모니터, 현재 평가해서 필요하면 변경 - 기술리뷰 : 유능한 인력으로 구성된 팀이 작업수행 -> 대표 엔지니어가 주재 / 관리자 참가가능 - 인스펙션 = 동료검토 : 코드를 포함한 SW산출물 검토 (주작낭기검), 간으한 개발초기에 검사, 관리자 참여금지 - 워크쓰루 : 비형식적 결함검출방법, 참가자의 교육이나 지식공유를 위해 하기도 함 / 작 = 주 + 기 / 관리자 금지 .. 더보기
[CSTS] 요약정리 암기노트 1. 테스트개요 💎 오류 = error ; 결함이 생기게 한 개발자의 행위 => 사람잘못 (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잘못 이해, 잘못 파악 / 실수, 오타 / 명령어 잘못이해로 코딩 실수 등) 💎 결함 = defect ; SW 내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 - 누락 ; 요구사항이 system에 반영 x - 부정확한 구현 ; 요구사항이 이상하게 반영됨 - 비관련 결함 ; 무의미한 코드 존재, 요구와 관련 x 구현 💎 장애 = failure ; SW가 요구사항과 다르게 동작 ⭐ 각 단계별 결함이 존재할 가능성 있음. (일부 모듈에 집중되어 나타남) 💎 테스트 케이스 (TC) : 입력과 대응되는 예상결과를 묶어서 부르는 말 💎 테스트 절차 : T과정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기록 (준비/실행/관찰/기록) 💎 테스트 스크립트 : 테.. 더보기
[CSTS] 내용정리 및 암기법 10. 테스트 모니터링/제어 및 종료 (4문제) *테스트 모니터링 및 제어* 동적 프로세스의 모든 테스트활동에 대해 테스트 현황 보고서에 기록 -> 테스트 메트릭 이용하여 파악 (정량적) -> 기준이 충족되면 테스트 종료활동 수행하고 테스트 종료보고서 작성 💎 테스트 모니터링 - 테스트 활동이 계획에 일치했는지 모니터링함. 차이가 있다면 원인분석. - 위험관리 수행 : 새로운 위험요소 식별, 위험도 산정과 평가 수행, 기존에 식별된 위험상황 변경 확인 -> 테스트 설계기법 및 테스트 완료 기준 등을 조정 *테스트 종료* 테스트 종료되면 테스트 수행중 생성된 산출물을 관리 + 환경 정리 -> 테스트 종료 보고서 작성 (테스팅 요약, 계획대비 차이점, 방해요인, 메트릭, 결함 목록, 잔존 위험, 완료 평가, 산출물, 재사용 가능한 테스트 자산, 교훈 ) .. 더보기
[CSTS] 내용정리 및 암기법 9. 테스트 실행 (4문제) ※ 초록색 글씨는 암기법입니다 :) 본인이 만들어서 외워주시는게 가장 좋지만 어려운 분들을 위해 제가 외웠던 방법을 공유해드립니당 😉 ※ *테스트 실행* 테스트 절차들을 선택하고 실행 -> 테스트 실행로그에 기록 💎 우선순위 전략 : 효율적인 T를 수행하기 위해 우선순위를 활용하여 테스트 💎 테스트 완료 기준 전략 : T완료 기준 달성에 가장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테스트 절차를 먼저 실행 💎 테스트 실행 주체 💎 테스트 실행 기록 : 테스터는 실제로 수행한 구체적인 작업과 목격된 이벤트들을 시간대별로 테스트 실행 로그 문서에 기록 (이벤트는 구체적으로 기술) *결함 보고* 실행로그 분석 -> 결함식별 -> 결함보고서에 기록 -> 결함해결 시작 결함이 해결되고 종료될 때까지의 과정을 결함추적보고서에 기록.. 더보기
[CSTS] 내용정리 및 암기법 8. 테스트 설계 및 구현 (3문제) *테스트 설계 및 구현 개요* -> 테스트 계획서를 바탕으로 테스트 범위와 전략을 구체화하는 것 -> 테스트 설계 명세서 작성 -> TC, T절차를 개발 (테스트 케이스 명세서, 테스트 절차 명세서) -> T환경요건, T데이터요건 정의 (테스트 환경 요건 명세서, 테스트 데이터 요건 명세서) 💎 테스트 계획서 ; 테스트 대상에대한 테스트범위를 피처로 정의 💎 테스트 설계 및 구현활동 ; 유사한 성격을 가진 피처들을 묶어서 피처 집합으로 정의 => 피처 집합 : 독립적인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위 => 피처 집합을 구성하는 각 세부 피처에 대해 TC를 개발 => 하나의 세부 피처에 복수개의 TC가 개발됨. *테스트 설계* = 피처 구체화 💎 피처 집합별로 TC 및 T절차가 개발되고 T실행도 집합별로 수행가능 .. 더보기
[CSTS] CSTS 한번에 합격하기, CSTS 공부방법 CSTS 를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시험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제가 했던 공부방법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! CSTS TTA에서 주관하는 CSTS (Certified Software Test Specialist) 란 SW테스트 전문가 자격시험을 말하며, 자격등급 및 종류에는 일반등급 (FL) 과 고급등급 (AL) 이 있습니다. 일반등급 (Foundation Level) 은 총 100점 만점에 75점 이상이면 합격이고, 4지선다형 50문제 (각 1.5점), OX 10문제 (각 1점), 단답형주관식 10문제 (각 1.5점) 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* 시험 신청 및 자세한 내용 * https://edu.tta.or.kr/EgovPageLink.do 공부방법 저는 2022년 8월 20일에 시험을 봤었고, 이번 시.. 더보기